천체 망원경으로 행성을 관측해 보자
행성들의 이름은 알고 있지만 정작 늦은 밤 밖에 나가서 밤하늘을 올려다보면 달은 알겠는데 내가 알고 있는 그 행성들은 어디에서 빛나고 있는지 알 수 없습니다. 물론 모바일 앱을 사용하여 위치를 찾아보지만 작은 점 하나가 반짝이는 모습으로 보이게 됩니다. 이때 천체망원경을 이용하여 좀 더 확대한 모습을 직접 관측할 수 있습니다. 처음으로 직접 보게 되는 화성의 오렌지 빛과 목성의 대적반이라 불리는 소용돌이 모습과 4개의 위성들 그리고 토성의 고리를 보게 되면 정말 "오" 하고 감탄을 하게 됩니다. 저도 관측해 본 경험이 있지만 그때 정말 희열을 느끼게 됩니다.
그럼 각 행성들의 간단한 소개와 특징들을 알아보겠습니다.
행성들의 특징과 관측 대상
수성(Mercury)
수성은 태양계의 내부 행성 중 가장 작으며, 태양과 가장 가까운 행성입니다. 수성은 적도 반경이 약 4,880km로, 지구의 약 38% 정도에 해당합니다. 수성의 지표는 크레이터, 절벽, 평원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 수성은 높은 밝기 대비를 가지고 있어, 천체망원경으로도 잘 관측할 수 있습니다.
금성(Venus)
우리말로 샛별이라 불리는 금성은 태양계의 내부 행성 중 두 번째로 가까운 위치에 있으며, 지구와 가장 유사한 행성 중 하나입니다. 금성은 지름이 약 12,100km로, 지구의 약 95% 정도에 입니다. 금성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가 많아, 지구와 달리 화산활동이 적고 대기 중 온실 효과가 강합니다. 천체망원경으로 관측할 때는, 금성은 지구와 매우 가까이 붙어 있을 때에만 관측이 가능합니다. 관측이 가능한 날 달과 같은 위상변화를 감상할 수 있습니다.
화성(Mars)
화성은 지구로부터 4번째로 떨어진 행성으로, 오렌지빛이 도는 것으로 유명합니다. 화성의 지름은 약 6,792km로, 지구의 약 53% 정도에 해당합니다. 화성의 지표에는 붉은 산호(oxidized iron) 때문에 황갈색이 도는 분말 지형과 대규모 화산, 크레이터 등이 있습니다.
화성은 촛점 잡힌 천체망원경으로 보이는 붉은색을 확인하는 것 만으로 충분히 매력 있는 행성입니다.
목성(Jupiter)과 위성들
목성은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으로, 1,000개 이상의 위성을 가지고 있습니다. 목성의 지름은 약 139,822km로, 지구의 약 11배 정도에 해당합니다. 목성은 대기 중 수소와 헬륨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. 목성은 특히 대기 중에 허술한 구름과 거대한 남극성 폭풍 때문에 유명합니다. 또 한 목성에는 유명한 위성이 4개 있으며 90mm 굴절식 망원경으로 충분히 이 위성들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. 아래는 위성 4개의 설명입니다.
- 가나 메데 (Ganymede)
가나메데는 태양계에서 가장 큰 위성으로, 지름은 약 5,270 km입니다. 가나메 데는 암석과 얼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, 지하에서 액체 상태의 염수 해양을 가지고 있다는 추측이 있습니다.
- 칼리스토 (Callisto)
칼리스토는 태양계에서 세 번째로 큰 위성으로, 지름은 약 4,800 km입니다. 칼리스토는 목성의 자기장으로부터 보호되지 않아, 우주선의 탐사에 있어서 높은 방사능 수준 때문에 위험이 있습니다.
- 이오 (Io)
이오는 지름이 약 3,630 km인 목성의 네 번째로 큰 위성입니다. 이오는 활발한 화산활동으로 유명하며, 목성의 중력에 의해 유발되는 조석 밀도 파도로 인해 지구에서 관측 가능한 펄스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
- 유로파 (Europa)
유로파는 지름이 약 3,130 km인 목성의 여섯 번째로 큰 위성입니다. 유로파는 얼음으로 덮인 표면과 지하에서 염수 해양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,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곳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.
토성(Saturn)
토성은 목성 다음으로 큰 행성으로, 62개의 위성을 가지고 있습니다. 토성의 지름은 약 116,460km로, 지구의 약 9배 정도에 해당합니다. 또한 멋진 얼음고리를 감상할 수 있습니다.
토성 (Saturnus)
토성의 질량은 지구의 약 95.1배이며 지름은 9배인 12만 km 가량으로서 크기와 질량에서 목성 다음으로 태양계에서 큰 행성 이며, 토성의 질량은 지구의 약 95.1배이며 지름은 9배인 12만 km 가량으로서 목성 다음으로 태양계에서 큰 행성이기도 합니다.
또 한, 토성은 태양계 행성 가운데 꽤 먼거리에 위치하지만, 토성의 고리가 있기 때문에 밝은 빛으로 빛나며 수성보다도 밝은 빛을 내고 있습니다.
천체 망원겨으로 관측할 만한 곳은 토성을 둘러싸고 있는 거대한 얼음 띠와 토성의 위성 타이탄입니다.
오늘 밤 맑은 밤하늘을 기약하며 천체 관측의 매력에 빠져 보시기 바랍니다.
'천체관측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여름철 대표 별자리 4개 (0) | 2023.04.25 |
---|---|
겨울철 대표 별자리를 알아보자! (0) | 2023.04.24 |
천체 관측용 모바일 앱! (0) | 2023.04.24 |
영월 별마로 천문대! 강추! (0) | 2023.04.23 |
경기도에서 가까운 천문대! (0) | 2023.04.23 |